물레바퀴를 만드는 과정에서 큰 톱니바퀴, 축에 대한 설명은 건너뛰었습니다.

원래 동력에 대해 먼저 설명을 해야하지 않나... 싶었습니다만 간단하게 먼저 만들어보고 다음장에 설명하겠습니다.


첫 동력원인 물레바퀴를 만들어보자

우선, 기초 재료인 안산암 합금을 만들어봅시다.

안산암 합금은 다른 부품을 만들 때에도 꽤 사용되니 꼭 만드는 방법을 알아둡시다.

[철 조각2 + 안산암2] 또는 [아연 조각2 + 안산암2] 로 조합할 수 있습니다.

※ 아연 조각은 Create 모드에 추가된 아연 광석을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

많이 캐신 광석을 이용하여 합금을 만드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산암 합금2]를 세로로 조합하여 을 만들어줍시다.

 

[축1 + 나무 판자2]큰 톱니바퀴를 만듭시다.

톱니바퀴를 이용한 제작 방법도 있습니다. 톱니바퀴는 축 1개, 나무판자 1개로 조합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큰 톱니바퀴1 + 나무 반 블록8]물레바퀴를 만듭시다!

※ 여기까지 제작 과정에 포함된 큰 톱니바퀴, 톱니바퀴, 은 다음 장에 설명할 예정이니 조합법은 알아둡시다.

 


아무튼 저희의 첫 동력원인 물레바퀴를 만들었으니 벽면에 설치해봅시다.

 

부피가 살짝 크지만 엄연히 한 블럭의 크기를 가집니다.

물레바퀴는 이 흘러야 돌아가겠죠?

 

※ 물을 어떻게 흐르게 하느냐에 따라 물레바퀴의 속도와 동력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1. 물레바퀴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의 물의 흐름 방향에 영향을 받습니다.

2. 물레바퀴의 방향에 따라 물의 흐름 방향으로 받는 동력의 크기가 다릅니다.

3. 각 면이 받는 물의 흐름 방향이 시계/반시계로 일정하지 않으면 동력의 크기가 감소합니다.

 

2번부터 살펴보자면 물이 물레바퀴의 왼쪽 상단 -> 하단으로 흐르는 것과 오른쪽 상단 -> 하단으로 흐르는 것은 물레바퀴가 받는 물의 힘의 크기가 다릅니다. 왼쪽에서 받는게 크겠죠? 그러면 물은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해야합니다.

 

그리고 1번과 3번을 살펴보면 네 면을 모두 이용하는 것은 애매합니다, 오른쪽 면의 물이 위로 흘러야 힘을 받기 때문이죠.

물론 영혼 모래가 있다면 가능하지만 굳이 그러실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물이 흐르도록 하면 좋은 효율로 동력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좋은 효율의 물레바퀴를 만들었다고는 해도 물레바퀴가 만들어내는 동력의 크기는 조금 작은 편입니다.

하지만 물레바퀴는 앞뒤로 연장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연장한 개수만큼 동력의 크기는 배로 늘어나겠죠?

 

 

이제 동력원도 충분히 있으니 이를 이용하여 기계를 몇개 만들어서 연결하여 작동시켜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