맷돌은 분쇄 휠의 하위호환 느낌이지만 쓸만합니다.
그리고 선풍기는 화로 기능도 가능하죠, 자세한 내용은 글중에 작성되어 있습니다.
[ 톱니바퀴 + 안산암 케이스 + 돌 ]로 맷돌을 만들 수 있습니다.
돌은 같은 종류의 다른 아이템인 안산암, 화강암 등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맷돌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이전 압착기와 믹서기의 글을 보면 알 수 있죠, 톱니바퀴로 회전시켜주거나 축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 맷돌의 옆면도 톱니바퀴 역할을 합니다.
이전 글의 회전 속도가 8RPM인 풍차와 연결되어있습니다.
맷돌도 회전 속도에 영향을 받으니 적절하게 톱니바퀴를 연결시켜 32RPM으로 진행해보았습니다.
동력원과 연결된 첫 톱니바퀴의 RPM이 8입니다.
하얀색은 해당 톱니바퀴의 회전 속도를, 초록색은 RPM이 두 배로 전달될 때를 나타냅니다.
더 간단한 연결 방법도 있으니 한 번 직접 연결해보세요.
맷돌의 뒷 면을 확인해보면 압착기의 옆 면처럼 축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축으로 연결해서 동력을 전달해도 됩니다.
맷돌을 이용한 아이템 교환은 위 내용 외에도 조금 다양합니다, 하지만 모든 아이템이 무조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체크무늬 위에 그려진 결과물은 확률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잔디를 맷돌에 갈면 밀 씨앗이 25%로 나옵니다.
한 번 사용해봅시다!
밀을 맷돌 위에 있는 구멍이 던지면 주변에 밀이 갈리는 이펙트가 나옵니다.
약간만 지나면 이펙트가 더 안나오는데, 제분이 끝났다는 뜻이므로 맷돌을 우클릭해서 결과물을 꺼낼 수 있습니다.
밀은 밀가루(+25%의 밀가루 2개), 25%의 밀 씨앗이 나옵니다.
밀가루는 물 양동이와 조합하여 반죽을 얻을 수 있고, 반죽은 구우면 빵이 됩니다! 재료가 3배나 줄어들죠.
이 과정에서 양동이는 소모되지 않습니다.
호퍼를 이용하면 결과물을 자동으로 상자에 넣을 수 있으니 톱니바퀴로 맷돌을 회전 시켜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밀을 밀가루로 만드는 과정은 좋습니다... 하지만 물 양동이와 조합하고, 화로까지 써야 빵이 나오는 것은 너무 비효율적입니다.
더 간단하게, 빠르게 이 과정을 수행하는 선풍기를 써봅시다.
[ 철 판4 + 안산암 합금1 ]을 조합하여 프로펠러를 만들어줍니다.
[ 축 + 안산암 케이스 + 프로펠러 ]을 조합하면 선풍기가 나옵니다.
선풍기 뒷면에 동력을 연결하면 입자가 날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력 회전 방향에 따라 반대로 끌어올 수도 있으니 유의하시며 연결해보세요.
플레이어가 서있어도 뒤로 약간씩 밀려갑니다. 그리고 아이템을 떨어트리면 아이템도 뒤로 밀려갑니다.
만약... 선풍기 바로 앞에 용암이나 불, 물이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심지어 영혼 불까지?
용암을 설치하면...
불꽃과 함께 빨간 입자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플레이어가 직접 입자에 닿을 경우, 라이터로 지져지는 것처럼 아프기 때문에 조심해야합니다.
우선 용암은 잠깐 빼고 물을 넣어봅시다.
그리고 [ 밀가루 + 물 양동이 ]가 반죽이였던걸 생각해서, 밀가루를 선풍기에서 나오는 물 입자로 씻어봅시다.
반죽 투하!
여기서 금 블럭을 더 뒤로 밀려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입니다.
밀가루 한 세트(= 64개)를 반죽으로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30초입니다.
물 양동이로 하나씩 조합할 필요도 없고, 심지어 64개씩 여러 세트를 동시에 던져놓아도 결국 30초입니다.
선풍기의 큰 장점은 한 번에 대량으로 구워야 할 때 특히나 빛을 발합니다.
창고에 모여있던 조약돌을 한 번에 굽거나 모래들을 유리로 구울 때 참 쓸만합니다.
이제 반죽은 불로 훈연을 시켜야겠죠?
물이 설치되어있던 장소에 물을 빼고, 불을 넣어봅시다. ※용암 아닙니다, 주의하세요.
네더랙 위에 불을 지피거나, 모닥불을 넣으시면 됩니다.
잘보면 빵이 있습니다.
선풍기가 참 유용하지만...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1. 훈연과 제련은 다릅니다.
선풍기 앞에 불이냐, 용암이냐의 차이입니다. 불은 음식을 구울 때, 용암은 블럭이나 광석을 구울 때 사용합니다.
만약 용암(=제련)을 올려두고 음식을 구우려고 하면 타서 사라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만약 헷갈린다면 조합법을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2. 불, 용암을 사용할 때 입자에 닿으면 화상을 입습니다.
좀 아픕니다. 아이템을 꺼낼 때는 다락문 등을 이용해서 입자에 닿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물 입자에 닿으면 화상은 사라집니다.
3. 두 번 연속으로 구워지지 않습니다.
[ 조약돌 - 돌 - 매끄러운 돌 ] 이 경우, 조약돌을 던져놓으면 시간이 계속 지나도 돌에서 매끄러운 돌로 바뀌지 않습니다.
한 번 주웠다가 다시 던져야 매끄러운 돌로 구워집니다.
선풍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팁
이전 글의 강력 접착제의 재료인 슬라임 볼을 야생에서 얻기에는 약간 힘들 수 있습니다.
Create 모드를 통해 [ 반죽 + 연두색 염료 ]를 조합하여 슬라임 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죽은 이제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고, 연두색 염료는 [ 초록색 + 하얀색 ] 염료로 조합 가능합니다.
하얀색은 뼛가루로, 초록색은 선인장이나 고사리를 맷돌에 갈면 됩니다.
또는... 맷돌로 확률적으로 초록색이나 연두색 염료를 주는 튤립을 갈면 되겠습니다.
'Minecraft > Cre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od / Create ] 밀 수확부터 빵까지(2) - 아이템 인터페이스, 슈트 (0) | 2022.08.24 |
---|---|
[ Mod / Create ] 밀 수확부터 빵까지(1) - 베어링, 렌치, 수확기 (1) | 2022.08.22 |
[ Mod / Create ] 동력원 - 풍차 / 계측기, 강력 접착제 (0) | 2022.08.18 |
[ Mod / Create ] 압착기, 믹서기 (1) | 2022.08.18 |
[ Mod / Create ] 동력 - 축, 톱니바퀴, 기어 박스 (0) | 2022.08.16 |